나의 경우 영어를 평생의 업으로 선택한 것은 단기적으로는 실패이고 장기적으로는 성공이었다.
나는 중학교 때 영어가 아주 재미있고 좋았는데 주요 원인은 선생님들이 내 영어를 칭찬하고 주변 친구들이 내 실력과 발음을 부러워했다는 점이다. 어린 나는 그런 칭찬이 기분 좋았고 결국 내가 영어를 잘 한다고 생각해서 전공을 하기에 이르렀다.
사실 나는 어학적 소질은 별로 없는 듯 싶다. 어머니 말씀에 따르면 내가 다섯 살이 되도록 우리말을 잘 못했다. ‘간호사’ 발음이 안 되어 ‘가나나, 가나나’라고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여섯 살쯤 되니 어느 날부터 갑자기 종알종알 말도 잘하고 춤추고 노래하더란다.
소질로 따지면 오히려 수학이 더 뛰어났다. 고등학교 때 평소 수학공부를 거의 하지 않고도 수업시간에 졸다 벌떡 일어나 수학 선생님이 내는 문제를 푼 적도 있으니까.
이렇게 내 부족한 어학소질로 영어를 공부했으니 당연히 더디고 어려움이 많았다. 많은 시간을 투자했는데 실력이 늘지 않아 답답했다. 다른 사람들을 보면 한 두 해만 해도 금세 잘 하는 듯 싶은데 나는 장장 25년 넘게 영어공부를 했다. 항상 내 실력에 부족함을 느끼니 한때는 정말 내가 바보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다.
그런데 결국 끈기가 답이었다. 원하는 만큼 실력이 늘지 않아 좌절하면서도 꾸준하게 노력하니 이제 나는 영어를 예쁘고 우아하게 한다는 말을 듣는다. 물론 내가 그동안 영어공부에 투자한 시간이나 기대치에는 전혀 미치지 못했다.
인간은 아주 똑똑한 존재다. 자연스럽게 살아가고 적응하는 법을 배운다. 나는 어렸
마찬가지로 영어라는 언어적 요소가 부족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비언어적 요소를 개발시켜야 상대방에게 똑같은 수준의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본능적으로 알았다.
그래서 나는 더 잘 웃었으며 내 음성에 집중했다. 나의 체형에 어울리는 나만의 세련된 패션을 개발했다. 상대방 이야기를 잘 들었으며 배려하는 마음을 체득했다.
거기다가 섬세한 내 감성은 상대의 감정 변화를 쉽게 감지해서 상대방을 편안하게 했다. 특히 나의 열정과 적극성은 서구사람 눈에는 많은 동양인에게서 볼 수 없는 큰 장점이었다.
이렇게 장기적인 차원에서 나는 언어적 그리고 비언어적 역량 개발에 성공했다.
(계속)
'Her story: 제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aron의 책 이야기] 영어를 뛰어넘어: English and Beyond(3) (0) | 2007.12.12 |
---|---|
[Sharon의 책 이야기] 영어를 뛰어넘어: English and Beyond(2) (0) | 2007.12.10 |
[Sharon의 책] 특별지령-원어민 친구를 사귀어라(4) (0) | 2007.12.08 |
[Sharon의 책] 특별지령-원어민 친구를 사귀어라(3) (0) | 2007.12.06 |
[Sharon의 책] 특별지령-원어민 친구를 사귀어라(2) (0) | 2007.12.04 |